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학사, 석사, 박사과정을 마치고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KBS 9시 뉴스 표현 자문위원, 뉴사우스웨일즈대학교 객원교수, 전주교육대학교 교수, 여성가족부 다문화 정책 포럼 위원, 여성정책연구원 자문위원, 전라북도 교육청 자문위원을 지낸 바 있다. 한국화법학회 부회장과 국어교육학회 등 여러 학회의 이사와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현재 국어교육과 교수이며, 담당 과목은 국어표현교육론, 국어교육학개론 등이다.
연구실적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타난 질문 기능 분석-관계 지향적 질문, 반응형 질문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2024, v.0 no.138, 65-100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베-한 번역 교육 연구 - <그린 파파야 향기(Mùi đu đủ xanh)> 영화의 언어·문화적 측면을 중심으로 -
이중언어학, 2024, v.0 no.95, 271-309
영화 <고교 얄개(1977)>와 <천국의 아이들(2012)>에 나타난 교사 학생 간 대화 양상 비교
화법연구, 2024, v.0 no.63, 27-62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비동의 화행 양상 비교
국어교육학연구, 2024, v.59 no.2, 5-38
2022 개정 읽기 교육과정 실행의 쟁점 탐색 — ‘의도된 변화’를 ‘실현’하기 위한 보강 요소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2023, v.58 no.2, 219-254
<태양 아래>에 나타난 모큐멘터리와 다큐멘터리 프레임의 비판적 고찰
통일인문학, 2023, v.94, 165-195
대화이동 연속체 원형을 활용한 ‘공손성 원리’의 화법 교육 방안 -예능 프로그램 <효리네 민박> 대화 분석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2023, v.0 no.95, 33-63
속성의제 분석을 통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 -‘조유나 양 실종’ 사건 인터넷 신문 보도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2023, v.0 no.93, 29-65
토크쇼 <유 퀴즈 온 더 블록>에 나타난 진행자 유재석의 질문 기능 연구
화법연구, 2023, v.0 no.60, 31-67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에서 고등학생의 발표 불안 인식 차이와 원인 분석
국어교육연구, 2022, v.0 no.80, 1-44
대학생 인식 조사에 기반한 AI 면접 교육 범주 및 내용 연구
한글, 2022, v.83 no.4, 1401-1434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화법 연구 동향 분석
한글, 2022, v.83 no.2, 489-511
영화 <굿윌헌팅>에 나타난 트라우마 치료 대화법 분석
화법연구, 2022, v.0 no.56, 115-147
<베테랑>과 리메이크 영화 <“大”人物> 분석을 통한 한・중 언어문화 비교 연구
이중언어학, 2021, no.82, 25-59
AI 면접을 대비하기 위한 화법 교육 방안
한글, 2021, v.82 no.4, 1101-1139
공손 표현에 대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인식 차이 비교 연구 –인스턴트 메신저 대화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021, no.85, 131-165
남한 주민을 위한 북한어 어휘 교재 개발
청람어문교육, 2021, no.80, 413-459
디지털 리터러시에 관한 한국어 학습자와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 상황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2021, v.56 no.2, 145-181
사이버 언어폭력에 대응하는 언어방어 전략 연구
국어교육, 2021, no.174, 161-201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국어 수업 방안 연구
청람어문교육, 2021, no.84, 7-39
한국 영화 <수상한 그녀>와 중국, 베트남판 리메이크 영화에 나타난 언어문화 비교 연구
화법연구, 2021, no.53, 1-43
SNS <고독방>의 커뮤니케이션 양상 연구: 익명성이 보장된 공간에서 이미지로 대화하기
교과교육학연구, 2020, v.24 no.3, 296-308
모국어 문맹의 베트남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글 지도 실행연구
국어교육연구, 2020, no.74, 161-204
문재인 대통령의 SNS 정치 담화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분석
텍스트언어학, 2020, v.49, 187-225
문화 체험 프로그램 중심의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국내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2020, v.31 no.4, 109-138
빙산 메타포 모형에 기반한 관계 중심 대화 양상 분석
새국어교육, 2020, no.125, 195-235
중도입국 학생의 언어 교육과 교육 격차
독서연구, 2020, no.56, 161-192
한국어 어휘 학습을 위한 모바일 게임 앱 설계 및 개발 제언
청람어문교육, 2020, no.76, 235-276
‘서비스직 과잉 존대 표현’에 대한 다층적 인식 조사 및 비판적 검토
국어교육, 2019, no.165, 27-62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상에 대한 종단 연구 - 김윤정·권순희(2015) 후속연구
청람어문교육, 2019, no.72, 241-279
북한 고급중학교『국어문학』에 수록된 제재 양상 및 특징―김정은 시대의 2013 교육강령 및 교과서를 대상으로―
우리말연구, 2019, v.56, 211-239
북한 소학교 2학년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언어 규범 교육 내용 분석 —남북 비교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2019, v.54 no.2, 115-151
신문기사에 나타난 ‘난민’ 관련 은유 표현 연구-제주도 이주 예멘 난민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어 의미학, 2019, v.63, 1-34
2013년 개정 북한 국어 교과서 분석
국어교육학연구, 2018, v.53 no.3, 5~47
공감적 듣기 전략에 따른 자기노출의 긍정적 과정 연구 -영화 <굿윌헌팅> 분석을 중심으로
화법연구, 2018, v.41, 155~188
남북한 중등학교 읽기 영역의 교육 내용 비교 : 남한의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북한의 ‘2013 개정 국어 교육강령’을 대상으로
독서연구, 2018, v.48, 203~245
베트남 학습자의 한국어 경어법 오류 양상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2018, v.53 no.2, 289~328
세대 간 소통을 위한 화법교육 방안 -‘사이로(思異路)’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화법연구, 2018, v.40, 27~66
중국 코미디 영화에 드러난 유머 요소- <도학위룡>과 <미인어>의 번역 자막 분석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2018, v.60, 119~140
한-베 고부간 의사소통에 나타난 불확실성·불일치 요인 분석-<다문화 고부열전> 내 ‘한 지붕 두 며느리 베트남 겹사돈 이야기’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2018, v.68 no.0, 85~128
Comparison of the Reading Content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a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Focusing on the 2015 Revised Korean Curriculum of South Korea and the 2013 Revised Korean Curriculum of North Korea
교과교육학연구, 2017, v.21 no.3, 197~205
STEAM 교육 정책 운영 초등 교사들의 인식 조사: 교과(융합) 교육에 대한 함의
교육연구, 2017, v.69, 121~161
고등학교 3학년 국어 수업에 나타난 특권화 양상 분석- 교사와 학생 간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2017, no.63, 113-162
과학기술과 인문학 융합 내용 및 융합 방법 실태 분석 -초등학교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7, v.37 no.2, 313~322
관계 지향의 교사 화법을 위한 국어 교사의 수업 대화 유형 및 특징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2017, v.21 no.4, 411~424
교사신념에 따른 수업대화의 참여구조 양상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2017, v.52 no.4, 189~226
남북한 초등학교 듣기말하기 교육 내용 비교 - 남한의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북한의 ‘2013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2017, v.63, 5~27
남북한 초등학교 문법교육 내용 비교 -남한의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북한의 ‘2013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우리말글, 2017, v.72, 31~65
남북한 초등학교 쓰기교육 내용 비교- 남한의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북한의 ‘2013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작문연구, 2017, v.33, 95~116
다문화 교실의 대화 양상 분석을 통한 문화 반응적 교수의 교육적 제언: 영화 ‘클래스’와 ‘프리덤 라이터스’를 중심으로
화법연구, 2017, v.36, 173~212
변화된 문식 환경과 작문 교육의 역할
작문연구, 2017, v.32, 29~60
실천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인터넷 포털 뉴스의 담화구조 분석: ‘구의역 사건’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2017, no.42, 133-171
영화 <보이후드>에 나타난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거울 효과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2017, v.21 no.6, 708~723
플립러닝을 활용한 국어교육 교수학습 제안
국어교육학연구, 2017, v.52 no.1, 95~119
TV 드라마 대화 분석을 통한 남녀교사의 이미지 고찰
우리말연구, 2016, v.47, 49~83
북한 이탈 고등학생의 국어 능력 진단 평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 v.16 no.7, 753~781
북한 이탈 초등학생의 국어 능력 진단 평가 분석
한국초등국어교육, 2016, v.61, 381~421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한 신문 매체 텍스트의 한자어 이해 양상 연구: 한자 난도와 세대에 따른 양상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2016, no.41, 49
신문 매체의 개념어 확대 사용 양상 연구
새국어교육, 2016, v.107, 135~171
초․중․고 북한 이탈 학생의 쓰기 양상 분석 - 서술형 쓰기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2016, v.62, 197~242
Reading beyond Cultural Barriers: A Study on American Adolescents’ Responses to the Korean Picture Book, Doggy Poo
국어교육학연구, 2015, v.50 no.5, 147-182
가족 의사소통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 연구 - 대학생 자녀를 둔 가정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2015, v.58, 97-142
공감적 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화법 교육 방안 - ‘대화 함축’ 교육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2015, v.60 no.60, 351-388
다문화 가정 어머니와 자녀 간 의사소통 양상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2015, v.57, 45-92
대학생 자녀와 부모의 의사소통 증진 방안 연구 - 일상 대화 분석을 중심으로
화법연구, 2015, v.28, 1-36
중등 귀국 학생의 국어 교육 적응 및 한국어 사용 양상에 대한 자기 성찰적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2015, v.50 no.4, 41-80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상 분석
청람어문교육, 2015, v.53, 183-230
콩쥐 팥쥐 모티프 설화를 활용한 문화 학습 모형의 국어교육 방안 연구
한중인문학연구, 2015, v.47, 85-114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문화 차이로 인한 표현 이해 간섭 양상 연구
화법연구, 2015, v.30, 59-104
갈등 대화와 협력 대화 양상 비교 분석-<안녕! 자두야>, <구름빵>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2014, 제36권, 79-120
교실 대화 분석을 통한 바람직한 교사 화법 모색
국어교육학연구, 2014, 제49권 2호, 225-263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사 교육
국어교육, 2014, v.0 no.144, 121-146
다중언어 사회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역할과 위상
우리말연구, 2014, 39호, 5-24
문화 입각점에 근거한 번역의 문제-문화적 차이가 드러나는 표현의 번역 양상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2014, 101호, 59-77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 현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4, 제14권 10호, 561-586
초등학생의 국어 능력에 대한 교사의 인식 양상- 학년 간 특성 비교를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2014, 56호, 1-38
호주의 ESL 교육과정 운영 사례 및 시사점
국어교육, 2014, 146호, 437-474
화법교육의 연구 현황과 전망
국어교육연구, 2014, 55호, 1-20
[학술지논문]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베-한 번역 교육 연구 - <그린 파파야 향기(Mùi đu đủ xanh)> 영화의 언어·문화적 측면을 중심으로 -
이중언어학, 2024, v.95
no.0
, 271-309
KCI
[학술지논문] 영화 <고교 얄개(1977)>와 <천국의 아이들(2012)>에 나타난 교사 학생 간 대화 양상 비교
화법연구, 2024, v.63
no.0
, 27-62
KCI
[학술지논문]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비동의 화행 양상 비교
국어교육학연구, 2024, v.59
no.2
, 5-38
KCI
[학술지논문] 2022 개정 읽기 교육과정 실행의 쟁점 탐색 — ‘의도된 변화’를 ‘실현’하기 위한 보강 요소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2023, v.58
no.2
, 219-254
KCI
[학술지논문] <태양 아래>에 나타난 모큐멘터리와 다큐멘터리 프레임의 비판적 고찰
통일인문학, 2023, v.94
no.0
, 165-195
KCI
[학술지논문] 속성의제 분석을 통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 -‘조유나 양 실종’ 사건 인터넷 신문 보도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2023, v.93
no.0
, 29-65
KCI
[학술지논문] 토크쇼 <유 퀴즈 온 더 블록>에 나타난 진행자 유재석의 질문 기능 연구
화법연구, 2023, v.60
no.0
, 31-67
KCI
[학술지논문] 교사의 서술적 정체성과 체화된 정체성 양상 - 면담과 수업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
우리말교육현장연구, 2022, v.16
no.1
, 63-98
KCI
[학술지논문]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에서 고등학생의 발표 불안 인식 차이와 원인 분석
국어교육연구, 2022, v.80
no.0
, 1-44
KCI
[학술지논문] 대학생 인식 조사에 기반한 AI 면접 교육 범주 및 내용 연구
한글, 2022, v.83
no.4
, 1401-1434
KCI
[학술지논문]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화법 연구 동향 분석
한글, 2022, v.83
no.2
, 489-511
KCI
[학술지논문] 영화 <굿윌헌팅>에 나타난 트라우마 치료 대화법 분석
화법연구, 2022, v.56
no.0
, 115-147
KCI
[학술지논문] <베테랑>과 리메이크 영화 <“大”人物> 분석을 통한 한・중 언어문화 비교 연구
이중언어학, 2021, v.82
no.0
, 25-59
KCI
[학술지논문] AI 면접을 대비하기 위한 화법 교육 방안
한글, 2021, v.82
no.4
, 1101-1139
KCI
[학술지논문] 공손 표현에 대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인식 차이 비교 연구 –인스턴트 메신저 대화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021, v.85
no.0
, 131-165
KCI
[학술지논문] 남한 주민을 위한 북한어 어휘 교재 개발
청람어문교육, 2021, v.80
no.0
, 413-459
KCI
[학술지논문] 디지털 리터러시에 관한 한국어 학습자와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 상황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2021, v.56
no.2
, 145-181
KCI
[학술지논문] 설득적 글쓰기와 정서 표현 글쓰기에 나타난 표현 양상-강원국, 김민식의 저서와 강연 분석을 중심으로
선청어문, 2021, v.49
no.0
, 131-170
[학술지논문]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국어 수업 방안 연구
청람어문교육, 2021, v.84
no.0
, 7-39
KCI
[학술지논문] 한국 영화 <수상한 그녀>와 중국, 베트남판 리메이크 영화에 나타난 언어문화 비교 연구
화법연구, 2021, v.53
no.0
, 1-43
KCI
[학술지논문] 모국어 문맹의 베트남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글 지도 실행연구
국어교육연구, 2020, v.74
no.0
, 161-204
KCI
[학술지논문] 문재인 대통령의 SNS 정치 담화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분석
텍스트언어학, 2020, v.49
no.0
, 187-225
KCI
[학술지논문] 문화 체험 프로그램 중심의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국내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2020, v.31
no.4
, 109-138
KCI
[학술지논문] 빙산 메타포 모형에 기반한 관계 중심 대화 양상 분석
새국어교육, 2020, v.0
no.125
, 195-235
KCI
[학술지논문] 한국어 어휘 학습을 위한 모바일 게임 앱 설계 및 개발 제언
청람어문교육, 2020, v.76
no.0
, 235-276
KCI
[저역서] 작문교육론
사회평론아카데미, 2023, 516
[학술발표] 미디어 담화 분석과 교육
2024 언어연구소 상반기 학술대회 , 대한민국, 2024-05-31
미디어와 언어 , 2024, 9-51
[학술발표] 개정 교육과정의 읽기/독서의 변화
한국독서학회 , 대한민국, 2023-04-22
독서 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독서 교육 , 2023
[학술발표] <마당을 나온 암탉>의 n차 텍스트 교육 방안
2022년 한국화법학회·한국작문학회 연합학술대회, 대한민국, 2022-09-24
한국 사회 표현의 문제와 교육적 대응, 2022
[학술발표] AI 면접에서 화법에 대한 인식 조사
제236회 韓國語文敎育硏究會 全國 學術大會, 대한민국, 서울, 2022-07-16
제236회 韓國語文敎育硏究會 全國 學術大會, 2022
[학술발표] 다문화언어강사 실태 분석을 통한 다문화언어문화 사회 교사의 역할 고찰과 미래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제34차 추계 학술대회 , 대한민국, 2022-11-05
다중언어 다중문화 시대의 교사 역량 , 2022, 118-146
[학술발표]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국어교육의 방향 탐색- ‘AI 기반 융합 혁신미래교육 중장기 발전계획('21~'25)’을 중심으로 -
제47회 한국독서학회 학술대회, 대한민국, 2021-04-24
포스트코로나 시대 독서복지 구현 방안, 2021
[학술발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화법 연구 동향 분석
575돌 한글날 기념 전국 국어학 학술대회, 대한민국, 2021-10-15
국어교육학의 과제와 전망, 2021
[학술발표] 언택트 시대 학습자의 시공간적 현존감 경험에 근거한 국어과 수업 설계 방안
2021 한국어교육학회-한국화법학회 연합학술대회, 대한민국, 2021-10-08
언택트 시대, 국어교육의 방법은 어떻게 달라져야 할 것인가, 2021
강의
2025-1학기
국어표현교육론
학수번호 36471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3
(교A414)
,
수 2~2
(교A414)
국어교과논리및논술
학수번호 36479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교)
,
수 4~4
(251)
전공필수
한국어표현교육의특수문제
학수번호 G16101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5~6
(교)
국어과교육내용론연구
학수번호 KN102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8~9
(교)
2024-2학기
국어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학수번호 36482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3
(교)
,
수 2~2
(154)
전공필수
국어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학수번호 36482 분반 02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2~2
(교)
,
목 3~3
(253)
전공필수
의사소통교육론
학수번호 36486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교A414)
,
수 4~4
(교A414)
담화능력및교정지도
학수번호 G16075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5~6
(교)
강의실변경
2024-1학기
국어교육학개론
학수번호 36470 분반 01
1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6
(교)
,
수 5~5
(154)
5인팀티칭
국어교육학개론
학수번호 36470 분반 02
1학년 (
3학점
, 3시간)
월 4~4
(교A406)
,
목 5~5
(교A406)
5인팀티칭
국어표현교육론
학수번호 36471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3
(교)
,
수 2~2
(154)
국어교과논리및논술
학수번호 36479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교)
,
수 4~4
(651)
전공필수
작문교육론연구
학수번호 G16045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5~6
(교)
화법교육연구
학수번호 KN203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교)
2023-2학기
국어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6482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3
(교)
,
수 2~2
(651)
전공필수
의사소통교육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6486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교)
,
수 4~4
(154)
화법교재및교수학습방법연구
학수번호 G17760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5~6
(교)
2023-1학기
국어표현교육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6471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6
(교)
,
수 5~5
(154)
국어교과논리및논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6479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3
(교)
,
수 2~2
(154)
전공필수
국어교과논리및논술
강의 계획서 상세보기
학수번호 36479 분반 02
3학년 (
3학점
, 3시간)
금 6~7
(교)
전공필수 추가 개설, 실습학기 참여 학생만 수강 가능
화법교육과정및평가연구
학수번호 G17759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5~6
(교)
국어논리및논술교육론
학수번호 KN104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수 8~9
(교)
2022-2학기
국어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학수번호 36482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3
(교)
,
수 2~2
(154)
전공필수
의사소통교육론
학수번호 36486 분반 01
3학년 (
3학점
, 3시간)
월 5~5
(교)
,
수 4~4
(154)
매체언어교육세미나
학수번호 G16065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5~6
(교)
국어과교육내용론연구
학수번호 KN102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화 8~9
(교)
2022-1학기
국어교육학개론
학수번호 36470 분반 01
1학년 (
3학점
, 3시간)
화 2~2
,
금 3~3
팀티칭
국어표현교육론
학수번호 36471 분반 01
2학년 (
3학점
, 3시간)
월 6~6
,
수 5~5
쓰기교육과정및평가연구
학수번호 G17761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월 3~4
작문교육연구
학수번호 KN202 분반 01
학년 (
3학점
, 3시간)
목 8~9
(교)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