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자대학교

검색 열기
통합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이화여자대학교

통합검색
nav bar
 
Ewha University

기관/학과 소식

화공신소재공학과 생물화학공학연구실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지원 사업 3년 연속 선정

  • 등록일2022.05.25
  • 6618

본교 화공신소재공학전공 생물화공연구실의 박사과정생 4인이 2020년 이래로 3년 연속 한국연구재단이 선정하는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지원 사업’에 선정됐다. 교육부 주관, 한국연구재단 선정의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지원 사업’은 ‘이공분야 학문후속세대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박사과정생(석·박통합과정생 및 수료생 포함)의 박사학위 논문 주제와 관련된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아이디어 연구를 학생이 주도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과학기술분야 기초연구사업이다. 사업 선정자들은 최대 2년간(1년+1년) 연 2천만 원의 지원을 받아 박사학위 논문주제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윗줄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조서영, 송혜민, 손유정, 손진아 


조서영 박사과정생(2020년 선정) 은 “C1 탄소원을 이용한 고부가산물 생산용 재조합 균주 시스템 개발”이라는 주제로 2년간 성공적으로 연구를 수행해왔으며, 최근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의 대안으로 주목 받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한 주요 고부가물질 생산 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미생물 플랫폼을 개발해왔다. 손유정 박사과정생(2021년 선정)은 다양한 대사공학적 전략을 수립하여 C4-C6 다이올 생산 고성능 코리네박테리움 균주 플랫폼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추후 바이오폴리에스터 합성의 전구체로 사용될 수 있을 C4-C6 다이올의 생물학적 생산을 통해 친환경 화학물질 생산 기술 개발 및 신규 기능성 고분자 개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소감을 전했다.  송혜민 박사과정생(2021년 선정)은 대사공학 기술을 도입하여 개량된 미생물을 통해 제한적으로 활용되어 왔던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주요 구성성분인 리그닌으로부터 다양한 화합물을 생산함으로써 경제적 확보가 어려운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플라스틱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손진아 박사과정생(2022년 선정)은 대사공학적으로 개량된 재조합 미생물을 통해 고물성의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을 생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탄소저감 실행과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의 해결책으로 화이트 바이오 성장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부심을 가지고 있고, 연구기간 동안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할 예정”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박시재 교수의 지도 하에 우수한 신진 연구 인력들이 성장하고 있는 생물화공연구실은, 미생물의 바이오리파이너리 기반 대사공학적 개량 전략 개발 및 목적 물질의 대량 생산을 위한 미생물 발효 공정 개발과 관련된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바이오리파이너리는 기존의 석유화학산업에 대항하여, 바이오매스 기반 원료로부터 다양한 산물들을 지속 가능한 생물학적 공정을 통해 생산하기 위한 기반기술을 통칭한다. 


본 연구실은 현재 과기부 주관의 바이오·의료 기술 개발 사업의 “차세대 바이오 폴리에스터 합성을 위한 C4-C6 다이올 생산 코리네박테리움 균주 시스템 개발” 및 C1 가스 리파이너리 사업의 “메탄 및 메탄올을 이용한 생물학적 생분해성 공중합체 고분자 생산 기술 개발”과 같은 바이오플라스틱 관련 과제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또한 2022년에는 산업부 주관과제인 “바이오매스 기반 생분해성 미생물 플라스틱 Polyhydroxyalkanoate(PHA)의 kL급 플랫폼 생산공정기술 개발” (연 2.6억, 4년) 과제를 비롯하여 과기부 주관의 2022년도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 중 석유대체 친환경 화학기술개발 사업의 “ω-Hydroxyalkanoate 단량체 함유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생산을 위한 재조합 균주 시스템 개발” (연 2억, 4년 9개월) 및 바이오매스 기반 탄소중립형 바이오플라스틱 제품기술개발 사업의 “원스텝-원팟 기반 차세대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생산을 위한 인공미생물 플랫폼 원천 기술 개발” (연 13.3억, 3년 6개월)에도 선정되었으며, LG화학, CJ, 대상, 현대바이오랜드를 포함하여 다양한 기업과도 공동 연구를 진행 중이다.